고양이 특징


밤이면 빛나는 고양이 눈 고양이 눈이 밤에 빛나는 이유는 타페텀(tapetum, 휘판)이라는 거울 같은 역할을 하는 세포 때문입니다 타페텀의 역할은 동공을 통해 망막을 통과한 빛을 반사시켜 망막으로 되돌려 보내는 역할을 합니다 야행성이나 심해어 등 어두운 곳에서 서식하는 동물에게 발견되며 사람에게는 없습니다 이 세포 때문에 어둠 속에서도 고양이 눈은 빛이 날 수 있습니다 이전 서술 했던 고양이시각에서 썼듯이 이 타페텀은 고양이의 야간 시력이 발달한 이유이기도 합니다 이 세포층 덕분에 1/6 정도의 적은 광량에서도 사물을 인지할 수 있습니다


고양이의 눈 시력과 색약 고양이 시력유리구슬 같은 고양이 눈은 사람의 비해 시력은 1/10인 근시입니다 사람으로 치면 0.03 정도의 고도근시로 시력을 멀리 떨어져 있는 물체의 형태를 구분하는 것 만으로 정의한다면 나쁜 편이지만 저조도 시력과 동체 시력이 뛰어납니다 저조도 시력야간에 주로 사냥하는 고양이는 사람의 비해 6배 뛰어난 저조도 시력을 가지고 있어 아주 작은 빛이면 충분히 볼 수 있습니다 (어둠 속에서 시야 확보를 위해 필요로 하는 빛의 양이 사람의 1/6이며 빛이 아예 없다면 볼 수 없습니다) 동체시력장난감을 흔들어 주면 머리는 빠르게 흔들지만 눈은 고정되어 목표를 쫒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듯이 사람의 4배 정도 됩니다 1초에 4mm를 미세한 움직임도 금방 알아차릴 수 있습니다 덕분에 작고 ..


고양이 앞니 이 쌀알 같은 건 어디에 쓸까? 긁거나 정리 쌀알 같은 고양이의 앞니는 위, 아래 6개씩 총 12개가 있어요 음식을 씹거나 자르는 기능을 하기엔 작고 날카롭지 못하기 때문에 고양이는 앞니를 이용해 간지러운 곳을 긁거나 엉킨털을 풀고 발톱을 정리할 때 주로 사용합니다 털을 옴뇸뇸 먹는 행동할 때 이 앞니를 쓰고 있는 거죠 혀 마름 방지 고양이의 경우 위, 아랫니가 맞물리는 형태이고 맞물리는 앞니는 평상시 혀를 내미는 것을 방지해 혀가 마르는 것을 예방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가끔 혀를 내밀고 있다면 손가락으로 톡 만지시면 쏙 넣어요 기능은 적지만 양치 시 같이 닦아 관리해 주시고 성묘의 경우 치아가 빠졌다면 치주질환을 의심하고 병원에 방문해 주셔야 합니다


고양이가 집사를 알아보는법(고양이 기억력) 고양이의 기억력은 얼마나 될까? 여행을 다녀오거나 유학이나 군대로 인해 오랫동안 자리를 비우게 되었을때 날 잊어버리지 않을까? 고양이의 기억력 일반적으로 강아지가 고양이보다 기억력이 좋다고 하지만 훈련이 어렵다는 이유로 고양이는 강아지 보다 기억력이 떨어진다 라고 생각합니다. 이부분은 잘못 알고 있으며 무리생활을 하지않는 고양이에게 종속의 대한 개념이없어 고양이에게는 훈련이 힘든것 뿐입니다 (굳이 그럴 필요가 없기에) 미국 연구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사실은 강아지보다 매우 뛰어나며 단기기억력의 경우 사람의 20배이상 뛰어나다고 합니다 이경우는 고양이가 흥미있는 분야에 한해서 이며 흥미없는 대상이나 상황은 기억조차 하지 않고 신경도 쓰지 않습니다 기억력은 수면시 렘..


고양이수염과 관련 스트레스 고양이수염은 매우 민감하고 여러 용도로 사용이 됩니다 수염이 물체에 닿으면 그 진동이 모낭과 신경계에 전달되어 주변 환경과 물체의 크기와 위치, 질감까지 감지할 수 있고 어두운 곳에서 는 방향과 환경의 정보를 수염을 통해 얻을 수 있습니다 바람의 변화를 감지하기도 하는 인지적 기능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민감한 고양이수염이 많은 외부 자극에 노출되어 버리면 수염에 닿는 자극을 스트레스로 느껴 버리게 됩니다. 이런 상황이 지속되면 고양이는 자신이 하는 모든 활동을 중단해 버리기 때문에 건강을 해치게 되는데 이것이 고양이수염 피로증입니다. 특히 고양이 밥그릇이 너무 작으면 사료를 먹을 때마다 수염이 닿기 때문에 고양이수염 피로증에 걸리기 쉽습니다. 이렇게 되면 먹는 것을 거부..